Engineering Study Zone/Business Engineering

[ 경영공학 : 인사 관리 ] 신규 인사 팀원이 해야 하는 것은? ( HR팀 신입 초기 업무 방향 )

안다미로 : 담은 것이 그릇에 넘치도록 많게. 2024. 9. 16. 18:18

 

 

 

 


[ 인사 관리 ] 신규 인사 팀원이 해야 하는 것은? ( HR팀 신입 초기 업무 방향 )

 

 


HR 팀에 신입으로 막 입사한 상황에, 선임까지 없는 상황(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이 이런 상황이지 않을까요)에 마주하면

   어떤 방향으로 업무를 진행할지 막막한 기분이 들 것 같습니다.

 

HR팀 신입이 하는 업무를 검색해보다가, 좋은 글을 발견해서 한번 보고 정리해봤습니다.

https://kylejung2.tistory.com/126

 

HR 신규 입사 시 뭘 해야 하나요? (흔들리는 인사팀 신입분들을 위한 초기 업무 방향 추천)

인사팀 업무를 새로 시작했다면서, 뭘 해야할지 모르겠다는 글을 많이 봤었습니다. 특히나, 선임이 없는 경우, 작은 조직에서 HR에 관련된 업무를 제대로 배울 수 없는 경우 방향을 잡지 못해 혼

kylejung2.tistory.com

 


HR팀으로 배정받게 되면, 이제 인사담당자로써 경력을 쌓고, 조직과 사업 분야를 배워서 업무 범위를 넓혀 나갈 수 있습니다.

 

인사팀 담당으로서 열람할 수 있는 자료가 다양하며, 확장될 수 있는 업무 범위도 매우 넓습니다.

 


 

 

∇ HR 업무의 근간은 '규정'

 

      - > 출근 첫 날 자리에 아무것도 없이 앉게 된다면, 제일 먼저 확인할 것은 "취업규칙"입니다.

 

             : "취업규칙"은 근로기준법상 10인 이상의 상시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(기업)은 반드시 갖춰야 하며,

                 기본적인 복무사항 / 근로조건 / 복지/ 휴가/ 교육체계 등 회사에서 다루는

                 가장 기본적인 사항을 작성한 규정입니다.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항상 전 직원에게 비치/공지되어야 하는 서류이기 때문에,

                HR팀 신입의 경우 서류의 내용을 외우다 시피 계속 읽고,

                필요 시 항상 읽을 수 있도록 보관해서 가지고 있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
 

       

                하지만, 슬픈 현실은 우리나라 대체의 중소기업들은 사정상 취업규칙이 존재하지 않던지(사장님 마음대로)

               아주 오래전에 누군지 모르는 인사담당자가 만들어 놓은 서류만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              = > 이런 경우에는 "근로기준법"을 찾아서 탐독하는 방법이 좋다고 합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국가법령정보센터 사이트에서 법령 및 시행 규칙 등을 잘 정리해서 제공하고 있습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북마크로 추가하고, 서류를 수정하거나 제작할 때 필요한 부분을 찾아서 활용하면 됩니다.

https://www.law.go.kr/%EB%B2%95%EB%A0%B9/%EA%B7%BC%EB%A1%9C%EA%B8%B0%EC%A4%80%EB%B2%95

 

근로기준법

 

www.law.go.kr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+ 회사 내에서 지원이 가능한 상황이라면,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"1년차에, 근로기준법에 관련된 외부 교육을 수강하는 것을 강력히 추천"한다고 합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혼자서 공부하는 것과 수강 후 내용을 이해하는 것은 차이가 있다고 하네요.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생산성본부, 한국능률협회 등이 유명한 직무 교육 및 기초 교육 외부 기관이었고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메가넥스트, 휴넷 등의 기업도 활발히 교육을 확장하고 있습니다.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'근로기준법'이나 '채용부터 퇴직까지 ' 등의 용어로 많이 소개되는 인사 기초 관련 강의를 추천.

https://onkpc.or.kr/e-kpc/front/course/edu_list.jsp

 

ONKPC 한국생산성본부 디지털연수원

한국생산성본부 온라인학습 플랫폼으로 최신 교육 콘텐츠를 활용하여 고객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하고 있습니다.

onkpc.or.kr

https://www.kpc.or.kr/PTWCN011_TotalSearch_index.do?keyword=%EA%B7%BC%EB%A1%9C%EA%B8%B0%EC%A4%80%EB%B2%95

 

통합검색결과

 

www.kpc.or.kr

 

   = > 취업 규칙, 근로기준법을 시작으로, 인사팀 내의 규정은 모두 확인해줘야 합니다.

       

           규정으로 정해진 문서가 아니라 할지라도, 

           [ 경조사 관련 내용, 비용 규정처럼 업무상 가장 자주 질문을 받게되는 규정부터 시작해서

              급여규정, 교육 훈련 규정 등 인사 직무와 직결되는 규정

              그리고 회사 자산이나 보안등에 관련된 자산관리규정, 문서관리규정,IT규정 등 다양한 내역에 대한 학습이 필요]

 

         이 내용들도 한번 정리를 해봐야겠네요. 

          정해진 규정을 기본적으로 이해해야 활용이나 확대도 가능할테니 

 


 

 

∇ HR 관점에서 조직과 사업에 대한 접근.

 

       => "근로기준법 관련 학습"은 '인사팀 입사를 미리 준비'하는 데에도 효과적입니다.

 

             하지만, 입사 전에는 알 수 없는 회사 내부 정보, 특히 조직과 조직원들에 대한 정보야 말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인사팀 입사 후 가장 많이 접하고 학습해야 하는 내용입니다.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입사를 하게 되면, 신입으로서 확인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정보부터 확인해줍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내부 인트라넷을 보면 다양한 회사 정보가 정리되어 있을 겁니다.

 

 

더보기

              ∴ HR신입으로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내용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 회사 정보 : 회사 목표, 전략, 규범, 역사 등 외부인에게 설명할 수 있을 정도의 상세한 정보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 조직도 : 사업의 방향에 따른 조직의 형태, 조직별 업무, 협조 관계, 직원에 대한 정보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 채용 : 채용 계획, 채용 프로세스, 직무 설명서, 채용 지원 및 선별 도구 , 현재 채용 포지션 정보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 교육 : 교육 계획, 교육 프로세스, 교육 진행 도구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 내부 지원 서비스 : 회사에서 지원되는 각종 서비스 관련 정보 ( IT와 복지 등의 내용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 각종 규정, 양식 : 위 내용에 대한 상세한 규정 자료, 양식 등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 인트라넷이나 홈페이지에 준비된 자료가 없을 겨우 혹은 체계 자체가 잡혀있지 않은 회사에 입사한 경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 > HR 담당자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정리할 수 있는 과제로 삼을 수 있는 기회.

 

 

 


 

 

∇ 업무 환경 및 동료들의 이해.

 

            회사 관련 사항에 대해서 확인하는 것도 업무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.

 

              직원들이 인사팀으로 문의하는 대부분이 총무 관련이라, 인사팀 업무 범위 이해와 담당자를 확인하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그 업무에 대해서 학습하는 것도 좋은 초기 업무 방향입니다.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> 각 부서의 근무 위치, 사무실 현황, 공용 공간 위치 등 다른 다른 부서 신입사원에게 안내 할 수 있도록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준비하느 차원에서 확인하는 것도 좋은 동기부여가 될 것입니다.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 > 비품에 대한 내용, 담당자가 누구인지, 사무 용품에 대한 관련 사항 등이 인사 업무와 연관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 > 사무실 계약 상황, 창고 등의 임대 현황, 관련 서류 작업 등도 확인 가능하며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보안 관리, 시설물 관리 등으로 확장도 됩니다.

 

 

 


 

정리하고 보니, '근로'와 '채용' 대한 기준을 먼저 익히는게 우선이겠네요.